본문 바로가기

함수

(2)
[Kotlin] 함수 정의와 호출 함수 정의와 호출 3장에서 다루는 내용 컬렌션, 문자열, 정규식을 다루기 위한 함수 이름 붙인 인자, 디폴트 파라미터 값, 중위 호출 문법 사용 확장 함수와 확장 프로퍼티를 사용해 자바 라이브러리 적용 최상위 및 로컬 함수와 프로퍼티를 사용해 코드 구조화 3.1. 코틀린에서 컬렉션 만들기 숫자로 이루어진 집합 val set = hashSetOf(1, 7, 53) 리스트와 맵 val list = arrayListOf(1, 7, 53) val map = hashMapOf(1 to "one", 7 to "seven", 53 to "fifty-three") 여기서 to는 언어가 제공하는 특별한 키워드가 아니라 일반 '함수' 라는 점에 유의하자 위에서 만든 객체의 클래스 >>> println(set.javaCla..
메소드와 함수의 차이점? 출처 http://epicdevsold.tistory.com/178 ■ 함수와 메소드 - 특정한 로직을 처리하는데 사용한다는 점에서 동일 - 함수 :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한 줄 이상의 명령어를 스코프 내에서 실행하 고 return문을 만나면 자신을 호출한 명령어의 다음 줄로 이동한다. 함수의 기능은 복잡한 프 로세서의 기능을 일정 부분만 감당함으로써 효울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도록 한다.- 메소드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클래스 데이터 타입에 의존적인 함수라고 볼 수 있다. 메소드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멤버 함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즉, 메소드는 클래스 안에서 사용하는 함수하고 보면 된다. 객체클래스 모델링 관점프로그래밍 관점객체지향언어C++..